J Korean Diabetes > Volume 22(2); 2021 > Article
Glucagon-Like Peptide 1 수용체작용제 최신지견

Abstract

Glucagon-like peptide 1 (GLP-1) is a peptide hormone secreted by L cells of the small intestine in response to nutrients. GLP-1 presents a glucose-lowering effect via insulinotropic action on pancreatic β-cells. In addition to the insulinotropic effect, GLP-1 has pleiotropic actions associated with clinical benefits. GLP-1 receptor agonists (GLP-1RAs) are a well-established effec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GLP-1RAs have antihyperglycemic effects and help reduce glucose levels and body weight, with a low risk of hypoglycemia. Additionally, GLP-1RAs have beneficial effects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ch as blood pressure and lipid levels. Large randomized cardiovascular outcome trials and meta-analyses have demonstrated that GLP-1RAs reduce cardiovascular disease in T2DM patients. GLP-1RAs are recommended as part of glucose-lowering regimens in patients with T2DM and established cardiovascular disease or those at high risk. Renal protective effects and beneficial effects of GLP-1RAs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ave been suggested.

서론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1 (glucagon-like peptide 1, GLP-1)은 음식 섭취 시 위장관 L세포에서 분비되는 인크레틴 호르몬으로, 포도당 농도에 의존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한다[1]. 그러나 체내에서 생성되는 GLP-1은 dipeptidyl peptidase-4 (DPP-4)에 의해 수분 내 빠르게 분해되어 활성을 잃게 된다. GLP-1 수용체작용제(GLP-1 receptor agonist)는 DPP-4에 의해 가수분해되지 않는 GLP-1 유사체로 만들어진 제제이다. GLP-1 수용체는 췌장 β, α, δ 세포, 췌관, 신장, 폐, 심장, 면역세포, 말초 및 중추 신경계 등에 존재하며, GLP-1 수용체작용제는 GLP-1 수용체가 존재하는 여러 조직에서 다양한 효과를 나타낸다[2].
GLP-1 수용체작용제 종류로는 알비글루타이드(albiglutide), 둘라글루타이드(dulaglutide), 엑세나타이드(exenatide),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 릭시세나타이드(lixisenatide),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가 있으며, 이 중 exendin-4를 기반으로 개발된 exenatide, lixisenatide 와 GLP-1을 기반으로 합성된 albiglutide, dulaglutide, liraglutide, semaglutide로 나눌 수 있고, exenatide와 lixisenatide는 단시간 작용제로, 나머지는 장시간 작용제로 분류할 수 있다[3].
GLP-1 수용체작용제는 효과적인 혈당강하능뿐 아니라 체중 감소 효과, 심혈관 보호 효과, 신장 보호 효과 등이 알려지며 임상적으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이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본론

1. GLP-1 수용체작용제의 효과

1) 혈당 강하 효과

GLP-1 수용체작용제는 효과적으로 혈당을 강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LP-1 수용체작용제 단독 또는 다른 혈당강하제에 추가했을 때의 혈당강하능을 보여준 여러 무작위대조시험들이 있는데, 메트포민(metformin), 설포닐유레아(sulfonylurea), DPP-4 억제제, 싸이아졸리딘다이온(thiazolidinedione), SGLT2 억제제(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 인슐린(insulin glargine, glulisine, lispro)과 비교하여 우월하거나 비열등한 혈당강하능을 보였다[4]. 한 메타분석에서는 GLP-1 수용체작용제가 위약 대비 당화혈색소를 1.02% 더 감소시켰고(95% confidence interval [CI], −1.10~-0.94), 설포닐유레아 대비 당화혈색소를 0.13% 더 감소시켰다(95% CI, −0.21~-0.04) [5]. 인슐린과 비교하여 비슷한 혈당강하효과를 보이면서, 인슐린보다 저혈당 위험 감소, 체중 감소 측면에서 우월하였다[6].
GLP-1 수용체작용제의 혈당강하 기전은 췌장의 β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고 α세포에서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는 것 외에도, 위 배출시간을 지연시켜 식후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막고,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 억제를 나타낸다[7]. 위 배출 지연 효과는 단시간 작용제에서 더 잘 나타나 식후혈당 조절에 유리한데, 장시간 작용제에서는 속성 내성(tachyphylaxis)으로 인하여 위 배출 지연 효과가 서서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공복혈당 및 당화혈색소 강하 효과는 일반적으로 장시간 작용제에서 더 크다[8].

2) 체중감소 효과

GLP-1 수용체작용제는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식욕을 감소시키고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등의 작용으로 체중감소를 일으킨다[9].
많은 무작위대조시험에서 GLP-1 수용체작용제 단독 또는 다른 혈당강하제에 추가했을 때 위약대비 체중감소 효과를 보였으며[4], 한 메타분석에서는 위약, 인슐린, 또는 다른 경구약제 대비 −3.31 kg에서 −1.22 kg의 체중감소 효과를 보였다[10]. 고용량의 liraglutide는 비만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11]. GLP-1 수용체작용제는 허리둘레 감소 효과도 나타내었으며, 한 메타분석에서 싸이아졸리딘다이온이나 인슐린 대비하여 −1.71 cm에서 −8.03 cm에 이르는 감소 효과를 보였다[12].

3) 심혈관계 보호 효과

GLP-1 수용체작용제는 체중감소, 혈당조절, 혈압 감소, 지질 개선 등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들을 개선시킨다[13]. 또한 심장 및 내피세포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는데, 산화질소(nitric oxide) 증가, endothelin-1의 감소, 활성 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감소, 염증 사이토카인 감소 등의 기전으로 죽상경화증의 진행을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14].
여러 임상연구를 통해 GLP-1 수용체작용제의 심혈관계 보호 효과가 증명되고 있는데, 2형당뇨병 환자에서 GLP-1 수용체작용제의 심혈관질환 안전성을 평가한 7개의 대규모 무작위대조시험 − Evaluation of Lixisenatide in Acute Coronary Syndrome (ELIXA) [15], Liraglutide Effect and Action in Diabetes: Evaluation of cardiovascular outcome Results (LEADER) [16], Trial to Evaluate Cardiovascular and Other Long-term Outcomes with Semaglutide in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SUSTAIN-6) [17], EXenatide Study of Cardiovascular Event Lowering (EXSCEL) [18], Albi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Harmony Outcomes) [19], Researching cardiovascular Events with a Weekly INcretin in Diabetes (REWIND) [20], Peptide Innovation for Early Diabetes Treatment (PIONEER 6) [21] − 에서 GLP-1 수용체작용제가 심혈관질환 발생에 있어서 유익하거나 안전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중 LEADER 연구, SUSTAIN-6 연구, Harmony Outcomes 연구, REWIND 연구에서는 각각 liraglutide, semaglutide, albiglutide, dulaglutide군이 위약군에 비해 일차 종말점인 주요 심혈관계 사건(major adverse cardiac events;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 비치명적 뇌졸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ELIXA 연구, EXSCEL 연구, PIONEER 6 연구에서는 각각 exenatide, 연속방출 exenatide, 경구용 semaglutide군이 위약 대비 심혈관질환 안전성에 대해 비열등함을 보여주었다(Table 1). 이 7개의 무작위대조시험을 메타분석하였을 때에는 GLP-1 수용체작용제가 주요 심혈관계 사건을 12%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hazard ratio [HR], 0.88; 95% CI, 0.82~0.94),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 12% 감소(HR, 0.88; 95% CI, 0.81~0.96), 뇌졸중 위험을 16% (HR, 0.84; 95% CI, 0.76~0.93) 감소시켰다[22].
Table 1.
Cardiovascular outcome trials with 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s
Parameter ELIXA [15] LEADER [16,25] SUSTAIN-6 [17] EXSCEL [18] Harmony Outcomes [19] REWIND [20] PIONEER 6 [21]
Drug Lixisenatide Liraglutide Semaglutide Exenatide Albiglutide Dulaglutide Oral semaglutide
No. of patients 6,068 9,340 3,297 14,752 9,463 9,901 3,183
Median follow-up (yr) 2.1 3.8 2.1 3.2 1.6 5.4 1.3
Mean age (yr) 59.9 64.3 64.6 61.0 64.1 66.2 66
Mean BMI (kg/m2) 30.1 32.5 32.8 32.7 32.3 32.3 32.3
Mean HbA1c (%) 7.7 8.7 8.7 8.1 8.7 7.3 8.2
Mean DM duration (yr) 9.2 12.8 13.9 13.1 13.8 10.0 14.9
% CVD 100 81 83 73 100 31.4 85
% Heart failure 22.5 17 24 16 20.2 8.6 12.2
Primary outcomea 4-point MACE 3-point MACE 3-point MACE 3-point MACE 3-point MACE 3-point MACE 3-point MACE
Non-inferior/superior to placebo Non-inferior Superior Superior Non-inferior Superior Superior Non-inferior
CV outcomes              
 MACEs 1.02 (0.89~1.17) 0.87 (0.78~0.97) 0.74 (0.58~0.95) 0.91 (0.83~1.00) 0.78 (0.68~0.90) 0.88 (0.79~0.99) 0.79 (0.57~1.11)
 CV death 0.98 (0.78~1.22) 0.78 (0.66~0.93) 0.98 (0.65~1.48) 0.88 (0.76~1.02) 0.93 (0.79~1.19) 0.91 (0.78~1.06) 0.49 (0.27~0.92)
 Non-fatal MI 1.03 (0.87~1.22) 0.88 (0.75~1.03) 0.74 (0.51~1.08) 0.97 (0.85~1.10) 0.75 (0.61~0.90) 0.96 (0.79~1.16) 1.18 (0.73~1.90)
 Non-fatal stroke 1.12 (0.79~1.58) 0.89 (0.72~1.11) 0.61 (0.38~0.99) 0.85 (0.70~1.03) 0.86 (0.66~1.14) 0.76 (0.61~0.95) 0.74 (0.35~1.57)
 Unstable angina 1.11 (0.47~2.62) - - - - 1.14 (0.84~1.54) 1.56 (0.60~4.01)
 All deaths 0.94 (0.78~1.13) 0.85 (0.74~0.97) 1.05 (0.74~1.50) 0.86 (0.77~0.97) 0.95 (0.78~1.16) 0.90 (0.80~1.01) 0.51 (0.31~0.84)
 Heart failure 0.96 (0.75~1.23) 0.87 (0.73~1.05) 1.11 (0.77~1.61) 1.15 (0.94~1.18) 0.85 (0.70~1.04) 0.93 (0.77~1.12) 0.86 (0.48~1.55)
Renal outcomes              
 Composite renal outcomesb - 0.78 (0.67~0.92) 0.64 (0.46~0.88) 0.88 (0.76~1.01) - 0.85 (0.77~0.93) -
 New-onset persistent macroalbuminuria 0.84 (0.68~1.02) 0.74 (0.60~0.91) 0.54 (0.37~0.77) - - 0.77 (0.68~0.87) -
 Persistent doubling of serum creatinine 1.16 (0.74~1.83) 0.89 (0.67~1.19) 1.28 (0.64~2.58) - - -  
 ESRD - 0.87 (0.61~1.24) 0.91 (0.40~2.07) - - 0.75 (0.39~1.44) -

BMI, body mass index; DM, diabetes mellitus; CVD, cardiovascular disease; MACE,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CV, cardiovascular; MI, myocardial infarction; ESRD, end-stage renal disease.

a Three-component included non-fatal myocardial infarction, non-fatal stroke or cardiovascular death; four-component also included hospitalization for unstable angina.

b LEADER: new-onset persistent macroalbuminuria, persistent doubling of serum creatinine level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 45 mL/min/1.73 m2), ESRD, death due to renal disease; SUSTAIN 6: new-onset persistent macroalbuminuria, persistent doubling of serum creatinine level (and eGFR < 45 mL/min/m2), ESRD; EXSCEL: new-onset persistent macroalbuminuria, ≥ 40% worsening of eGFR, ESRD, death due to renal disease; REWIND: new-onset macroalbuminuria, ≥ 30% worsening of eGFR, ESRD.

4) 신장 보호 효과

GLP-1 수용체작용제는 신장의 근위세뇨관에서 Na/H exchanger에 작용하여 나트륨의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나트륨뇨배설(natriuresis)를 증가시킨다[23]. 이에 따라, 원위세뇨관에서 Na 증가로 tubular glomerular feedback이 유도되어 과여과(hyperfiltration)가 감소하게 된다. 이외에도 GLP-1 수용체작용제의 염증인자 감소, 안지오텐신 II 감소, 혈당 및 혈압 개선 등이 신장 보호 효과의 기전으로 제시되었다[24].
GLP-1 수용체작용제의 심혈관질환 안전성을 평가한 대규모 무작위대조시험들 중 일부에서 이차 종말점으로 신장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Table 1). LEADER 연구(liraglutide), SUSTAIN-6 연구(semaglutide), REWIND 연구(dulaglutide)에서 신장 관련하여 유익한 임상결과를 보였는데, 다량알부민뇨(macroalbuminuria)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주였다[17,20,25].
ELIXA 연구, LEADER 연구, SUSTAIN-6 연구, EXSCEL 연구, REWIND 연구를 포함한 메타분석에서 GLP-1 수용체작용제가 신장 관련 복합 사건(renal composite outcomes; 지속적 다량알부민뇨의 발생, 혈청 크레아티닌의 지속적인 두 배 상승, 사구체여과율 30% 또는 40% 이상 감소, 신대체요법 필요 또는 말기신부전, 신장병으로 인한 사망)의 발생 위험을 17%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2]. GLP-1 수용체작용제가 다량알부민뇨를 포함한 신장 종말점은 유의하게 개선시켰으나(HR, 0.83; 95% CI, 0.78~0.89) 다량알부민뇨를 제외한 신장 종말점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22].

5) 비알코올지방간질환

GLP-1 수용체작용제는 비알코올지방간질환에도 좋은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동물실험 및 임상연구에서 GLP-1 수용체작용제가 간의 지방 축적과 염증을 감소시키고, 지방간염으로의 진행을 막는 효과를 보인 바 있다[26].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에서 liraglutide, dulaglutide, exenatide가 간 및 내장 지방을 감소시키고, 간 조직 소견 및 간기능을 개선시키는 결과를 보였다[27-29]. 체중감소, 간 및 지방조직의 인슐린저항성 개선, 간세포에서 직접적인 지질대사의 개선, 염증 및 산화스트레스의 감소 등이 그 기전으로 제시된다[30].

6) 안전성 및 부작용

GLP-1 수용체작용제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계 이상반응으로, 약물 중단의 주요 원인이 된다. 소화기계 이상반응 발생률은 GLP-1 수용체작용제의 종류와 용량, 병용 혈당강하제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며, 단시간 작용제가 장시간 작용제보다 오심, 구토가 더 흔히 나타난다[31].
인슐린이나 설포닐유레아와 병용하지 않는 경우, GLP-1 수용체작용제로 인한 저혈당의 발생 위험은 낮다[32].
동물모델 연구에서 GLP-1 수용체작용제가 췌장염과 췌장 이형성(exocrine dysplasia)을 일으킬 수 있다고 제시되었으나[33] 대규모 무작위대조시험에서 GLP-1 수용체작용제가 췌장염이나 췌장암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았다[15-21].
동물모델에서 GLP-1 수용체작용제가 갑상선 부여포세포(C 세포) 증식 및 종양의 발생률을 증가시킨 바 있어[34], 사람에서의 자료는 없는 상태이나 갑상선 수질암의 과거력이나 가족력이 있는 환자 또는 2형 다발성 내분비선종(multiple endocrine neoplasia type 2, MEN2)이 있는 환자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2. GLP-1 수용체작용제의 임상 적용

전술한 바와 같이 GLP-1 수용체작용제가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 체중 감소 효과, 낮은 저혈당 위험, 심혈관계 보호 효과, 신장 보호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주어, 최신 진료지침에서는 GLP-1 수용체작용제에 대한 권고 정도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당뇨병학회에서는 메트포민 단독치료로 혈당조절목표에 도달하지 못하여 이차약제 선택 시 환자의 동반질환 등을 고려하여 약제를 선택하도록 권고하는데,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ASCVD)이나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의 동반 여부를 확인하여 ASCVD가 동반된 환자에서는 유익한 심혈관질환 임상연구 결과가 증명된 GLP-1 수용체작용제나 SGLT2 억제제를 사용하도록 권고하였다[35]. 이 외에도 저혈당을 최소화하고자 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약제 중 하나, 체중 감량을 해야 할 경우 선택할 약제 중 하나로도 GLP-1 수용체작용제를 권고하였다. 또한 2형당뇨병 환자에서 주사제 고려 시 가능한 한 인슐린보다 GLP-1 수용체작용제를 우선하도록 권고하였다. 인슐린과 GLP-1 수용체작용제를 비교한 연구에서 GLP-1 수용체작용제가 기저인슐린보다 혈당강하능이 우수하거나 비슷하였고, 저혈당의 발생 위험이 더 낮았으며, 체중조절 측면에서 이점이 있었기 때문이다[35].
GLP-1 수용체작용제와 인슐린의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연구와 임상적 활용도 증가하는데, 인슐린 치료 환자에게 추가 투여 시 식후혈당 감소 효과로 기저 인슐린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고, GLP-1 수용체작용제의 혈당 의존성 인슐린 분비 및 체중감소 효과로 인하여 인슐린의 부작용인 저혈당 및 체중증가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인슐린에 GLP-1 수용체작용제를 추가한 군과 인슐린 다회요법을 비교한 메타분석에서 당화혈색소 감소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었고, 인슐린 GLP-1 수용체작용제 병용군에서 체중 감소가 더 크고(Δ = −3.72 kg; 95% CI, −4.49~-2.95; P < 0.001), 저혈당 발생이 더 적었으며(relative risk, 0.46; 95% CI, 0.38~0.55; P < 0.001), 일일 인슐린 사용량도 더 적었다[36].
대한당뇨병학회의 최신 진료지침에서도 GLP-1 수용체작용제 관련 내용으로 다음을 포함한다[37].
  • • 강력한 혈당강하 효과를 중점적으로 고려할 경우 주사제를 포함한 치료를 우선한다. [무작위대조시험, 일반적권고]

  • • 혈당조절 강화를 위해 GLP-1 수용체작용제와 기저인슐린을 병용할 수 있다. [무작위대조시험, 제한적권고]

  • • 죽상경화심혈관질환을 동반한 경우 병용요법 시 심혈관이익이 입증된 SGLT2 억제제 혹은 GLP-1 수용체작용제를 포함한 치료를 우선 고려한다. [무작위대조시험, 제한적권고]

결론

GLP-1 수용체작용제는 오심, 구토, 설사 등 위장관계 부작용과 비용 측면에서 단점이 있으나 혈당 강하 효과가 우수하고, 저혈당의 위험이 적으며, 체중감소의 이점, 심혈관계 보호 효과 및 신장 보호 효과를 나타내어 단독요법 또는 경구약제 및 기저인슐린과 병용요법으로 2형당뇨병 환자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으며, 특히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을 동반한 환자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REFERENCES

1. Nauck M, Stöckmann F, Ebert R, Creutzfeldt W. Reduced incretin effect in type 2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Diabetologia 1986;29:46-52.
crossref pmid
2. Willard FS, Sloop KW. Physiology and emerging biochemistry of the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Exp Diabetes Res 2012;2012:470851.
crossref pmid pmc
3. Gentilella R, Pechtner V, Corcos A, Consoli A.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in type 2 diabetes treatment: are they all the same? Diabetes Metab Res Rev 2019;35:e3070.
crossref pmid
4. Lyseng-Williamson KA.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nalogues in type 2 diabetes: their use and differential features. Clin Drug Investig 2019;39:805-19.
crossref pmid pmc
5. Waldrop G, Zhong J, Peters M, Goud A, Chen YH, Davis SN, et al. Incretin-based therapy in type 2 diabetes: an evidence bas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Diabetes Complications 2018;32:113-22.
crossref pmid
6. Levin PA, Nguyen H, Wittbrodt ET, Kim SC.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a systematic review of comparative effectiveness research. Diabetes Metab Syndr Obes 2017;10:123-39.
crossref pmid pmc
7. Drucker DJ. Mechanisms of action and therapeutic application of glucagon-like peptide-1. Cell Metab 2018;27:740-56.
crossref pmid
8. Meier JJ. GLP-1 receptor agonists for individualized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Nat Rev Endocrinol 2012;8:728-42.
crossref pmid
9. Mudaliar S, Henry RR. Incretin therapies: effects beyond glycemic control. Am J Med 2009;122(6 Suppl):S25-36.
crossref pmid
10. Sun F, Chai S, Li L, Yu K, Yang Z, Wu S, et al. Effects of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on weight los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J Diabetes Res 2015;2015:157201.
crossref pmid pmc
11. Pi-Sunyer X, Astrup A, Fujioka K, Greenway F, Halpern A, Krempf M, et al. SCALE Obesity and Prediabetes NN8022-1839 Study Group.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3.0 mg of liraglutide in weight management. N Engl J Med 2015;373:11-22.
crossref pmid
12. Sun F, Wu S, Guo S, Yu K, Yang Z, Li L, et al. Effect of GLP-1 receptor agonists on waist circumference among type 2 diabetes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Endocrine 2015;48:794-803.
crossref pmid
13. Ussher JR, Drucker DJ. Cardiovascular actions of incretin-based therapies. Circ Res 2014;114:1788-803.
crossref pmid
14. Wei R, Ma S, Wang C, Ke J, Yang J, Li W, et al. Exenatide exerts direct protective effects on endothelial cells through the AMPK/Akt/eNOS pathway in a GLP-1 receptor-dependent manner.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16;310:E947-57.
crossref pmid
15. Pfeffer MA, Claggett B, Diaz R, Dickstein K, Gerstein HC, K⊘ber LV, et al. Lixisenatid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acute coronary syndrome. N Engl J Med 2015;373:2247-57.
crossref pmid
16. Marso SP, Daniels GH, Brown-Frandsen K, Kristensen P, Mann JF, Nauck MA, et al. Lira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16;375:311-22.
crossref pmid pmc
17. Marso SP, Bain SC, Consoli A, Eliaschewitz FG, Jódar E, Leiter LA, et al. Sema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16;375:1834-44.
crossref pmid
18. Holman RR, Bethel MA, Mentz RJ, Thompson VP, Lokhnygina Y, Buse JB, et al. Effects of once-weekly exenatide on cardiovascular outcomes in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17;377:1228-39.
crossref pmid pmc
19. Hernandez AF, Green JB, Janmohamed S, Sr D'Agostino RB, Granger CB, Jones NP, et al. Albi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Harmony Outcomes): a double-bl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2018;392:1519-29.
pmid
20. Gerstein HC, Colhoun HM, Dagenais GR, Diaz R, Lakshmanan M, Pais P, et al. Dula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type 2 diabetes (REWIND): a double-bl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2019;394:121-30.
pmid
21. Husain M, Birkenfeld AL, Donsmark M, Dungan K, Eliaschewitz FG, Franco DR, et al. Oral semaglutide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19;381:841-51.
crossref pmid
22. Kristensen SL, R⊘rth R, Jhund PS, Docherty KF, Sattar N, Preiss D, et al.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kidney outcomes with GLP-1 receptor agonist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ardiovascular outcome trials. Lancet Diabetes Endocrinol 2019;7:776-85.
crossref pmid
23. Gutzwiller JP, Tschopp S, Bock A, Zehnder CE, Huber AR, Kreyenbuehl M, et al. Glucagon-like peptide 1 induces natriuresis in healthy subjects and in insulin-resistant obese men. J Clin Endocrinol Metab 2004;89:3055-61.
crossref pmid
24. Yin W, Xu S, Wang Z, Liu H, Peng L, Fang Q, et al. Recombinant human GLP-1(rhGLP-1) alleviating renal tubulointestitial injury in diabetic STZ-induced rat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8;495:793-800.
crossref pmid
25. Mann JFE, Ørsted DD, Brown-Frandsen K, Marso SP, Poulter NR, Rasmussen S, et al. Liraglutide and renal outcomes in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2017;377:839-48.
crossref pmid
26. Sofogianni A, Filippidis A, Chrysavgis L, Tziomalos K, Cholongitas E.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 update. World J Hepatol 2020;12:493-505.
crossref pmid pmc
27. Sumida Y, Yoneda M, Tokushige K, Kawanaka M, Fujii H, Yoneda M, et al. Antidiabetic therapy in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t J Mol Sci 2020;21:1907.
crossref pmid pmc
28. Eguchi Y, Kitajima Y, Hyogo H, Takahashi H, Kojima M, Ono M, et al. Pilot study of liraglutide effects in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glucose intolerance in Japanese patients (LEAN-J). Hepatol Res 2015;45:269-78.
crossref pmid
29. Fan H, Pan Q, Xu Y, Yang X. Exenatide improves type 2 diabetes concomitant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rq Bras Endocrinol Metabol 2013;57:702-8.
crossref pmid
30. Kalogirou M, Sinakos E.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with antidiabetic drugs: will GLP-1 agonists end the struggle? World J Hepatol 2018;10:790-4.
crossref pmid pmc
31. Bettge K, Kahle M, Abd El Aziz MS, Meier JJ, Nauck MA. Occurrence of nausea, vomiting and diarrhoea reported as adverse events in clinical trials studying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a systematic analysis of published clinical trials. Diabetes Obes Metab 2017;19:336-47.
crossref pmid
32. Filippatos TD, Panagiotopoulou TV, Elisaf MS. Adverse effects of GLP-1 receptor agonists. Rev Diabet Stud 2014;11:202-30.
crossref pmid
33. Gier B, Matveyenko AV, Kirakossian D, Dawson D, Dry SM, Butler PC. Chronic GLP-1 receptor activation by exendin-4 induces expansion of pancreatic duct glands in rats and accelerates formation of dysplastic lesions and chronic pancreatitis in the Kras(G12D) mouse model. Diabetes 2012;61:1250-62.
crossref pmid pmc
34. Bjerre Knudsen L, Madsen LW, Andersen S, Almholt K, de Boer AS, Drucker DJ, et al.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activate rodent thyroid C-cells causing calcitonin release and C-cell proliferation. Endocrinology 2010;151:1473-86.
crossref pmid
35.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9. Pharmacologic approaches to glycemic treatment: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21. Diabetes Care 2021;44(Suppl 1):S111-24.
crossref pmid pdf
36. Castellana M, Cignarelli A, Brescia F, Laviola L, Giorgino F. GLP-1 receptor agonist added to insulin versus basal-plus or basal-bolus insulin therapy in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iabetes Metab Res Rev 2019;35:e3082.
crossref pmid
37. Korean Diabetes Associati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iabetes.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21.


Editorial Office
101-2104, Lotte Castle President, 109 Mapo-daero, Mapo-gu, Seoul 04146, Korea​
Tel: +82-2-714-9064    Fax: +82-2-714-9084    E-mail: diabetes@kams.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Diabetes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